18개 중앙행정기관 채용… 우편물 관리, 장애학생 학습지원 등 담당

인사혁신처는 지난 4일 ‘2022년도 중증 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’ 최종 합격자 45명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발표했다.

지난 6월 16일~17일 면접시험을 거쳐 행정, 사회복지, 전산,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7급 4명, 8급 3명, 9급 38명 등 총 45명이 최종 합격했다.

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교육부, 보건복지부 등 18개 중앙행정기관에 채용돼 ▲우편물 관리 ▲장애학생 학습지원 ▲진료비 관리 ▲정보시스템 운영, 정보보안 관리 등 중증 장애인 근무에 적합한 직위에 배치된다.

중증 장애인 경력채용 직렬·계급별 합격자 현황. ⓒ인사혁신처
중증 장애인 경력경쟁채용시험 직렬·계급별 합격자 현황. ⓒ인사혁신처
<iframe width="600" height="97" src="https://media.adpnut.com/cgi-bin/PelicanC.dll?impr?pageid=03aA&out=iframe" frameborder="0" marginwidth="0" marginheight="0" scrolling="no" vspace="0" hspace="0" allowtransparency="true" sandbox="allow-same-origin allow-scripts allow-forms allow-top-navigation allow-popups allow-modals"></iframe>

중증 장애인 경력채용은 지난 2008년 상대적으로 고용 여건이 열악한 중증 장애인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자 도입됐다.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통해 선발되며, 지난 2008년 18명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누적 선발인원은 총 401명이다. 

최종 합격자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, 지체장애인이 21명(46.7%)으로 가장 많았고 청각장애인 6명(13.3%), 뇌병변장애인 5명(11.1%) 순으로 나타났다.

평균 연령은 38.2세로 지난해 38.4세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최고령자는 55세, 최연소자는 24세다. 성별은 남성 33명(73.3%), 여성 12명(26.7%)으로 여성 비율이 지난해에 비해 소폭(2.5%) 증가했다.

인사혁신처 유승주 인재채용국장은 “앞으로도 중증 장애인에 적합한 직위를 지속 발굴하고 다양한 장애유형별 맞춤형 편의를 제공할 계획.”이라며 “임용 이후에도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근무 여건을 조성해 모두가 함께하는 공직사회를 만들겠다.”고 말했다.

[장애인신문·웰페어뉴스 박성용 기자]